파비콘 만들기 - 홈페이지 주소 앞에 보이는 아이콘
파비콘이 무엇인가?
주소쓰는 곳에 파비콘이 없으면 위처럼 나옵니다. 익스플로러아이콘으로..나오죠~~
![]() |
여기 네이버 파비콘입니다. 녹색 검색모양이어서 즉각 네이버라는 것을 알 수 있쬬??
|
네이버블로그 파비콘..
이처럼 파비콘은 사이트의 대표적인 느낌을 주는 아이콘입니다.
"즐겨찾기 아이콘이란 뜻으로 즐겨찾기(favorites)와 아이콘(icon) 의 합성어로 주소창에
조그만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
자 이제 요걸 만들어 볼까요?? - 파비콘 만들기
1. 우선 파비콘으로 쓸 이미지를 준비하세요.
일반적으로 16px X 16px 크기로 gif 또는 jpg로 제작 합니다.
이곳에서 gif나 jpg파일을 ico파일로 전환하세요. ( 확장자명은 .ico 입니다.)
2. ico파일을 알FTP를 이용하여 서버에 올립니다.
그리고 index.html(홈페이지 대문..)
<head> 와 </head> 태그 사이에
<link rel="shortcut icon" href="./파비콘의 이름.ico">를 넣으시면 됩니다.
(만약 상대경로의 개념을 모르신다면
위에 적힌 그대로(파비콘의 이름만 바꿔서) 소스를 넣어주시고 파비콘 파일의 위치는 index.html(혹은 index.php)파일이 있는 폴더와 같은 위치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3. 파비콘 소스를 넣은 index.php파일도 F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에 올립니다.
웹디자인시 웹표준이 이슈화 되기전에는 테이블로 많은
레이아웃을 잡은 홈페이지들이 있었으나
현재 레이아웃은 DIV로 코딩하고 Table은 데이터의 목록이나 게시판에
데이터출력에 사용됩니다.
그렇다고 Table태그를 사용안하는 것이 웹표준화가 아닙니다.
데이터 출력시 정확한 정보로 코딩하는 습관을기르는게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selectbox(드롭다운메뉴)를 디자인 하고 싶습니다...
htc 제작정보
// 스크립트명 - SelectBox -> 드롭다운 메뉴 변환 HTC
// 설 명 - SelectBox 폼필드를 레이어 형태의 드롭다운 메뉴로 자동 변경
// 제 작 자 - TarauS (taraus@naver.com)
// 메 신 져 - MSN Messenger -> taraus@hanmail.net
htc파일을 이용한 selectbox 에 css를 적용 시킬 수 있습니다.
htc파일을 만든 제작한 분은 위에 제작정보에 있습니다.
Html 소스를 보면 htc를 behavior를 이용해서 연결후 해당 태그 ID에 적용시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ml 소스
<html>
<head>
<title>selectbox, dropdownlist border값 적용 - css selectbox 적용</title>
<style>
fieldset { padding: 10px; }
#Select1 { behavior: url('selectbox.htc'); border: 1px solid #0094ff; font-size: 11px; color: #000000; }
</style>
</head>
<body>
<fieldset>
<legend>1. 예제</legend>
<select id="Select1" setimage="arrow.gif" setdisplaycount="10">
<option>naver</option>
<option>daum</option>
<option>nate</option>
<option>facebook</option>
</select>
</fieldset>
</body>
</html>
이미지 없이 css를 이용해서 div 테두리를 동그랗게 할 수 없을까요?
방법이 있습니다.
border-radius.htc 파일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결과물을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는 첨부파일에 있습니다.
![]() |
<예제> |
html 소스
<html>
<head>
<title>레이어(div) 외곽을 둥글게 하기 - css and div : rounded corner</title>
<style>
fieldset { padding:10px; }
.test-border { behavior: url('border-radius.htc'); -moz-border-radius: 20px; width: 200px; height: 200px; background: #323232; border: 2px solid #ffd800 }
.test-border2 { behavior: url('border-radius.htc'); -moz-border-radius: 20px; width: 200px; height: 200px; background: #ffffff; border: 2px solid #ff6a00; }
</style>
</head>
<body>
<fieldset>
<legend>1. 예제</legend>
<div class="test-border">
</div>
</fieldset>
<fieldset>
<legend>2. 예제</legend>
<div class="test-border2">
</div>
</fieldset>
</body>
</html>
<head>
<title>레이어(div) 외곽을 둥글게 하기 - css and div : rounded corner</title>
<style>
fieldset { padding:10px; }
.test-border { behavior: url('border-radius.htc'); -moz-border-radius: 20px; width: 200px; height: 200px; background: #323232; border: 2px solid #ffd800 }
.test-border2 { behavior: url('border-radius.htc'); -moz-border-radius: 20px; width: 200px; height: 200px; background: #ffffff; border: 2px solid #ff6a00; }
</style>
</head>
<body>
<fieldset>
<legend>1. 예제</legend>
<div class="test-border">
</div>
</fieldset>
<fieldset>
<legend>2. 예제</legend>
<div class="test-border2">
</div>
</fieldset>
</body>
</html>
👉📁예제파일 링크
보통
안드로이드 폰을 USB로 연결한 상태에서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합니다.
종종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실행해보면 Target에 unknown 이라고 뜨면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DDMS에서
봐도 Offline으로 표시되고 unknown이 표시됩니다.
![]() |
<해당 화면> |
해결법
1. Eclipse 종료 -> 작업 관리창(Ctrl+Alt+Delete) ->
adb,exe 프로세스 종료 -> Eclipse 실행
2. cmd 창 실행 -> adb.exe가 있는 폴더로 이동(cd "해당 폴더
경로") -> adb kill-server -> adb start-server
%
adb.exe가 있는 위치는 안드로이드 sdk를 설치하면 sdk 폴더의 platform-tools 폴더에 있습니다.
보통 안드로이드 폰을 USB로 연결한 상태에서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합니다.
종종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실행해보면 Target에 unknown 이라고 뜨면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DDMS에서 봐도 Offline으로 표시되고 unknown이 표시됩니다.
해결법
1. Eclipse 종료 -> 작업
관리창(Ctrl+Alt+Delete) -> adb,exe 프로세스 종료 -> Eclipse 실행
2. cmd 창 실행 -> adb.exe가 있는 폴더로
이동(cd "해당 폴더 경로") -> adb kill-server -> adb start-server
% adb.exe가 있는 위치는 안드로이드 sdk를 설치하면 sdk 폴더의 platform-tools 폴더에
있습니다.